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기획연재

사람 목숨은 누구나 소중한 것이여!

아미동 젊은이와 왜관 왜인들

내용

부산에 왜관이 설치된 것은 조선조인 1407년이었다. 왜관이란 왜인(당시는 일본인을 왜인이라 했다)들이 장사할 물건을 가지고 와서 이곳에서 팔고, 이 곳의 물건을 사들여 가는 상행위로 요즘의 '무역'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 왜관은 부산에서 지금의 부산진시장 부근, 그리고 동구 수정동의 고관으로 옮겨졌다가 1678년에는 용두산 주위가 되는 지금의 동광동, 광복동, 신창동 쪽으로 옮겨졌다.
 

일본인 거주지 왜관

이때의 용두산 주위는 지금처럼 바다가 매립되기 전으로 깎아지른 듯한 산비탈로 사람이 살지 않았다. 그렇게 바닷가 외진 곳인 산비탈을 깎아 왜관을 세운 것은 왜관에 머물 왜인과 우리나라 사람의 접촉을 피하기 위함이었다.

그 왜관은 33만㎢나 되었는데 둘레에는 담을 둘러 왜인이 함부로 왜관 밖으로 나오지 못하면서 장사인 상행위는 왜관 안에서 하도록 되어 있었다. 왜관 안의 왜인이 담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왜관 밖이 되는 복병산(伏兵山 : 현 남성여고가 있고, 옛 부산기상대가 있었던 산)에 우리 군사가 왜관 왜인을 지키기 위해 복병막(伏兵幕)을 두었는데 그 복병막이 여섯 군데나 되었다.

그렇게 우리 군사가 지키는데도 왜관 안의 왜인들이 왜관 가까이에 있는 우리 주거지까지 개인 또는 집단으로 숨어들어 비밀리에 장사를 한다든가, 여자를 희롱한다든가, 집에 들어 물건을 훔친다든가, 닭 같은 가금류를 잡아간다든가 하는 민폐를 끼쳤다.

그때 왜관과 우리나라 사람이 가장 가깝게 산 곳은 지금의 부평동 지역에 몇 집 있었는데 그곳으로 왜관 왜인들이 작당으로 침입하여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있었다.

그곳은 왜관 서쪽이 되어 복병막과 왜관의 수문(守門)이 멀어 경계가 허술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동래부에서는 한일 간의 마찰을 없애기 위해 부평동에 살던 사람을 지금의 아미동 쪽으로 이주를 시켰다.

그런 뒤 아미동에 이사를 갔던 젊은이는 왜관의 왜인들만 보면 집단으로 돌을 던져 한사코 싸웠다. 아미동 젊은이는 집단이었고 왜관 왜인들도 집단인 경우가 많아 험악한 상황을 보이기도 했다.

이 이야기는 왜관의 조선어 통역인 오다이쿠고로오(小田幾五郞)가 쓴 '초량화집(草梁話集)'에 나오는 이야기고 보면 1700년대 후반으로 여겨진다.
 

나라의 말(馬) 길러내던 국마장 '영도'

그러했던 조선조 때 지금의 영도(影島)는 절영도(絶影島)라 하여 나라에서 말을 길러내는 국마장(國馬場)이 되어 있었다.

조선조 때는 말의 수요가 많았다. 전쟁터의 전쟁마당에 쓰는 전마(戰馬), 사람이 타는 승마(乘馬), 역(驛)에 두어 역과 역으로 공문을 전달하고 정부 관리의 출장 때 정부 관리가 탈 수 있게 제공해 주는 역마(驛馬), 짐을 운반하는데 쓰는 역마(役馬) 등 쓰임새가 많았다.

그렇게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말은 주로 제주도 강화도 거제도 완도 돌산도 절영도 같은 섬에서 길렀다.

말은 묶어서 기르는 것이 아니고 놓아서 기르는 방목(放牧)이어야 하는데 육지에서 기르면 달아나기 때문에 주위가 바다로 달아날 수 없는 섬에서 길러졌다.

지금의 영도도 조선시대에는 이름 있는 국마장이었다.

이 국마장으로는 해마다 정부의 목자(牧子)가 와서 말에 등급을 매겨 낙인을 찍어 두었다가 정부의 필요에 따라 서울로 끌고 갔다. 그런데 어느 해인지는 알 수 없지만 절영도의 말을 육지로 실어내어야 할 일이 있었다. 그게 서울로 끌고 갈 말이었을 것이다. 그 때 아미동 젊은이가 그 말을 배에 싣고 내리는 일을 맡았다.
 

사람과 말 생명 구한 대마도 청년

그렇게 배에 싣는 자리는 영도의, 지금의 봉래동 옛 나루터였을 것이고 육지에 내려야 할 자리는 지금의 중앙동의 영도대교와 부산대교 사이의 옛 나루터였을 것이다.

그런데 배가 바다 한중간에서 뒤집혀 말과 사람이 물 속으로 곤두박질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쪽 육지에 가까운 쪽이 바로 그 때 있었던 왜관이었다. 왜관 왜인들이 보니 사람과 말이 물 속에서 뒤섞여 허우적거리고 있었다.

왜관 왜인들은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왜인들은 대마도 섬에서 온 젊은이가 대부분이었다. 바다일에 익숙했다.

왜인들이 바다로 달려 내려 사람은 물론 말까지 말끔히 구해냈다. 그때로부터 아미동 젊은이는 왜관 왜인도 쓰일 데가 있다고, 그 때 만일 저네들이 아니었음 사람과 말이 어쩔번 했느냐고, 그 이후부터는 돌멩이 내던지는 싸움이 없어졌다고 한다.

작성자
부산이야기 2003년 11·12월호
작성일자
2013-04-30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