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202002호 칼럼

부산형 일자리 모델 성공 정착 바란다

코렌스EM-협력회사 20여 곳, 전기차 부품·R&D 클러스터 구축 … 7천600여억 원 신규투자 … 4천300여 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부산지역 내 총생산(GRDP) 3조 원 유발 효과 예상

내용


1 

△김종한 | 경성대 경제금융물류학부 교수



새해 벽두부터 `부산형 일자리 모델' 관련 논의가 뜨겁다.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란 부산광역시 강서구 국제물류산업도시 제8공구 약 29만1천㎢에 신설법인 ㈜코렌스EM과 협력회사 20여 곳이 전기차 부품 및 R&D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사업계획을 말한다. 이 계획이 순조롭게 이뤄진다면 앞으로 10년간 7천600여억 원의 신규투자와 4천300여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된다. 무엇보다 연간 약 3조 원의 부산지역 내 총생산(GRDP)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부산시는 지난해 7월부터 `부산형 일자리 상생협력 실무조정위원회'를 설치하고 약 12회에 걸친 노사민정 간 숙의를 통해 `부산형 일자리 클러스터 상생협약안'을 도출했다. 그 결과 지난 1월 7일,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부산형 일자리 포럼' 공청회를 개최했다. 1월 9일에는 부산시 노사민정협의회 본회의 심의·의결도 마쳤다. 부산형 일자리 모델은 3~4월에 있을 중앙정부의 `상생형 지역 일자리 사업공모'에도 신청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해에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비롯해 밀양형, 대구형, 횡성형, 구미형, 군산형 등 총 6개 지자체에서 지역형 일자리 모델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지자체가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따라서 지난 6개월 동안 진행된 `부산형 일자리 클러스터 상생협약안'의 도출은 부산형 일자리 모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필요조건에 불과하다.


그렇다면 조만간 중앙정부에서 공모하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로의 선정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충분조건은 무엇일까?


첫째, 부산형 일자리 클러스터에 참여하는 지역 노사민정 대표 모두 `상생'을 위해 상호 양보와 배려하려는 적극적 태도와 실천이 필요하다. 특히 신설법인 설립 시 먼저 원하청업체 사측 대표자들의 상생형 기업가 정신에 입각한 지배구조 개선 등의 솔선수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글로벌 R&D 기반 기술혁신과 부품 국산화를 통해 생산성을 제고하고, 그 성과를 공유하는 메커니즘의 정착이 긴요하다. 셋째, 전기차 부품 제조분야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과 관련된 서비스 산업과의 연계 및 확산전략의 모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부산형 일자리 모델이 타 지역과 차별화된 `글로벌 R&D 기반 노사·원하청 상생 모델'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노사간 양보와 협력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클러스터 내 원하청 근로자의 `개별적 복지' 증대와 `부산형 좋은 일터' 확산으로 귀결되는 선순환 구조의 확립이 절실하다.


결국 부산형 일자리 모델은 `글로벌 기술혁신에 기초한 부산형 좋은 일터 확산 전략'의 일환인 것이다. 부산시 노사민정의 총의가 모여 `부산형 일자리 모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조만간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되는 낭보가 들려오길 기대해 본다.
 

작성자
김향희
작성일자
2020-02-14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202002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