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지난전시


푸른 종소리

전시시작일
2020.12.11.(금)
전시종료일
2021.03.21.(일)
전시장소
전시실 3‧5, Gallery 3‧5(지하1층)
참여작가
안젤리카 메시티, 예스퍼 유스트, 삼손 영, 최대진, 라그나르 캬르탄슨 & 더 내셔널, 장민승 + 정재일
전시개요
사운드, 음악적 요소를 통해 사회적 감정에 대한 고찰과 공감의 가능성에 대하여 주목하고 질문함
출품작
전시담당
내용


[크기변환]E775D9D3-0C79-4629-AC00-DD503EC5A253

안젤리카 메시티, <수신자 전원에게 알림>, 2017, 황동, 철, 320×45×45cm, 디 앤 제프리 헤이 소장


[크기변환]부산현대미술관_푸른 종소리_안젤리카 메시티

안젤리카 메시티, <릴레이 리그>, 2017, 3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9분 11초, 시드니 아트스페이스 커미션 작가 및 안나 슈왈츠 갤러리 제공


[크기변환]_BCJ4286-편집

삼손 영, <음소거된 상황 #22: 음소거된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 5번>, 2018, 단채널 비디오, 12채널 사운드 설치, 컬러, 45분, 작가 및 에드워드 말링 갤러리 홍콩/상하이 제공


[크기변환]_BCJ7192-편집

삼손 영, <한 명의 관람객을 위한 3악기로 구성된 3성부 인벤션>, 2020, 3면 벽화, 페인트, 3005×455cm, 작가 및 에드워드 말링 갤러리 홍콩/상하이 제공, 부산현대미술관 제작지원


[크기변환]_BCJ7841-편집

(왼쪽) 예스퍼 유스트, <Corporealités 1>, 2020, 비디오 설치, 다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LED 패널, 철, 시멘트, 250×350×363.2cm, 6분 11초, 부산현대미술관 소장

(오른쪽) 예스퍼 유스트, <Corporealités 4>, 2020, 비디오 설치, 다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LED 패널, 철, 시멘트, 225×150×96.5cm, 6분 11초, 작가 및 갤러리 페로탕 제공


[크기변환]푸른 종소리_라그나르 카르탄슨 +더내셔널

라그나르 캬르탄슨 & 더 내셔널, <수많은 슬픔>, 2013~2014,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시간 9분 35초, 작가 및 러링 어거스틴 갤러리 뉴욕 i8 갤러리 레이캬비크 제공


[크기변환]_BCJ4979-______

최대진, <볼레로>, 2018,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35초, 볼레로 프로젝트 제공

[크기변환]_BCJ4755-편집

최대진, <메모리얼 파크_산 자의 눈으로 죽은 우리에 대해 이야기해주오>, 2020, 반 원형의 세 판넬 위에 혼합재료, 319×210cm, 362×190cm, 762×230cm, 부산현대미술관 커미션


[크기변환]_BCJ4684-편집

장민승 + 정재일, <시편 144:4>, 2020, 단채널 파노라마 비디오, 흑백, 다채널 사운드, 12분 30초, 부산현대미술관 제작지원
 


그 어떠한 때보다 누군가의 아픔이 우리에게 연결되어 있음을 체감하는 시대이다. 이제 위태로운 삶에 대한 성찰은 다시 읽힌다. 모두를 더없이 평등하게 만드는 인간의 취약성과 상실은 더욱 절실히 인식해야 할 문제로 전면화 되었다. 《푸른 종소리》는 그 잠재력으로 표면에 쉽게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사회 저변 또는 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구조화된 슬픔에 주목한다. 《푸른 종소리》는 하나의 사회적 메시지로서 감성이 들리고 공유될 수 있는지 묻고 응답해보려는 시도로 마련되었다. 이러한 관점으로 전시 제목은 비애와 상실이라는 '푸른' 심상을 마치 보이고 들리는 것처럼 표현했던 김광균의 시 「외인촌」 구절인 '분수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를 인용하였다.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는 타인의 고통에 거리감을 둔 채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셀 수도 없이 많다. 거의 언제나 들고 다니는 내 손안에 스크린을 통해서, 또 쉴 새 없이 울리는 각종 재난문자 경보를 통해서도 말이다. 타인과 공유하는 세상을 속속들이 볼 수 있지만 도리어 무감각해졌다. 우는 자와 함께 울라. 함께 소리를 낸다는 것은 애초에 가능한 것인가. 누군가를 이해하고 같은 소리를 낸다는 것은 다만 경험에 의한 근사치로서만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무엇을 소환해야 서로 조우하며, 상상력과 공감의 실패를 벗어나 마음 깊숙이 담아 둘 수 있을까. 《푸른 종소리》는 전 지구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촉발하는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코드가 무엇인지 물으며 그 단서를 음악에서 빌려온 작품들로 이어나간다. 

 

     전시 《푸른 종소리》는 「낮은 소리로」, 「부르짖음」라는 두 악장(Movement)으로 구성된 하나의 곡과 같다. 「낮은 소리로」는 미세하지만 끊임없이 전해 오는 소리를 통해 늘 무언가 일어나고 있음을 예고한다. 몸짓이나 시각적 형태로 변환된 소리는 사회 전반에 걸쳐 일상적이라 오히려 평범한 억압과 어떤 힘으로부터 가려진 소리를 다시 상상해보기를 청한다. 「부르짖음」에서는 공명의 공간으로 메아리친다. 귀에는 꺼풀이 없어 언제나 열려있지만 오히려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무뎌지고 만다. 귀를 기울이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까닭은 반복되는 후렴구 같은 상황과 사건 가운데 맴도는 위태로운 삶의 망연한 호소를 이해하며 응답해야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듣는 소리가 완전하지 못하나 너만의 것은 아니라는 울림. 그 흩어진 울림의 메시지를 들으려는 것은 하나의 의지이자 실천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자료관리 담당자

학예연구실
전진이 (051-220-735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