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 교육 및 문화행사 > 지난 프로그램

지난 프로그램


《노래하는 땅》 전문가 초청 강연

교육시작일자
2024.2.17.(토)
교육종료일자
2024.2.17.(토)
교육장소
부산현대미술관 2층 강의실
내용

강좌/교육명: 

《노래하는 땅》 전문가 초청 강연 

 

강의소개:

《노래하는 땅》전시 주제를 심화하기 위한 전문가 초청 강연입니다.

 

상세정보

▪ 프로그램 :《노래하는 땅》 전문가 초청 강연 

▪ 교육대상 : 청소년, 성인

▪ 교육인원 : 50명 이내

▪ 운영일시 : 2024.2.17.(토) 14:00~17:00

▪ 교육장소 : 부산현대미술관 2층 강의실

▪ 강 연 자 : 유기쁨(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홍선기(국립목표대 교수), 서정록(북미 인디언 연구자)

▪ 신청기간 : 2024. 2.1.(목) ~ 선착순 마감

▪ 신청방법 : 부산시통합예약사이트▷강좌/교육▷부산현대미술관

▪ 참여방법 : 프로그램 5분 전 부산현대미술관 2층 강의실로 오시기 바랍니다.

▪ 참 여 비 : 무료

▪ 커리큘럼(교육내용)

  

14:00~14:50  유기쁨(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 땅과 연결된 사람들: 토착 애니미즘 사회의 생태문화


15:00~15:50 홍선기(국립목포대 교수) - 생물문화 다양성의 뿌리, 전통언어 – 섬의 삶 속에서 찾다!


16:00~16:50 서정록(북미 인디언 연구자) - 홍익인간과 북미인디언들의 영성


1. 땅과 연결된 사람들: 토착 애니미즘 사회의 생태문화

세계 각지의 토착사회는 자기 주위의 비인간 생명 존재들을 예민하게 감각하고 함께 살아가려고 애쓰는 가운데 풍성한 생태적 사유와 생활방식을 발전시켜 왔다. 이들이 일궈온 문화에 귀 기울이면서 오늘날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 다시 발견하고 찾아야 할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려 한다.

 

* 유기쁨은 인간의 고질적인  물질/영성의 이분법적 사유의 폐해를 극복하고 비인간 행위주체들과 대화적인 관계를 수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 발간한 저서로『애니미즘과 현대세계: 다시 상상하는 세계의 생명성』(2023)이 있고 『종교, 미디어, 감각』(2016,공저) 및『세계관과 생태학: 종교, 철학, 그리고 환경』, 『원시문화』1,2 등 다수의 역서가 있다. 

 

2. 생물문화다양성의 뿌리, 전통언어 – 섬의 삶 속에서 찾다!

섬은 바다의 어족자원을 이용하면서 살아가는 공간이다. 섬은 밤과 낮, 그리고 계절에 따라서 달라지는 물 때, 바람, 물길을 읽어가면서 살아온 전통지식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시간에는 바다와 조우하면서, 바다를 읽어가면서 살아가는 섬 주민들만의 전통과 언어를 알아본다.

 

* 홍선기는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SCOPUS 국제학술지 『Journal of Marine & Island Cultures』의 창간편집장으로 세계생태학회 상임이사(2013-2022)를 역임한바 있다. 유·무인도 생태계, 해양도시, 어촌의 생태학, 환경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고 인도네시아와 일본의 섬 생태계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탐구한 저서『트로피컬 아일랜드니스』 및 『항구도시의 에콜로지』등 다수의 저·역서를 출간했다.

 

3. 홍익인간과 북미인디언들의 영성

 단군신화에 나오는 '홍익인간' 개념에 나오는 '인간'이 흔히 우리 human being을 가리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아시아족이나 북미인디언들은 '모든 살아있는 생명'을 '사람'이라 불렀다. 단군신화에 접목해보면, 홍익인간의 '인간'은 우리 인간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모든 살아있는 생명'을 가리킨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 서정록은 서울대학교 철학과와 동대학원을 나왔다. 동북아의 우리나라 고대사와 문화사, 교류사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또한 북미인디언들의 영성에 대해 20여년 공부해오고 있다. 저서에는 <백제금동대향로>(2001), <지혜는 어디서 오는가>,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이유>, <일라케시 알라킨>, <트랜스워킹> 등이 있다.

 

 

노래하는땅3

노래하는땅4

노래하는땅5

 

 

승인조건/주의사항

▪ 프로그램 신청 후 참여가 어려울 시 다른 참여자를 위해 취소 처리 부탁드립니다.

▪ 프로그램 참여 모습은 사진 및 영상으로 미술관 홍보 및 아카이브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내용 및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료관리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051-220-7355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