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을 클릭하면 답변을 볼 수 있습니다.
- 엑스포 개최 9년 이전(2021년)부터 국제박람회 기구(BIE)에 신청을 해야하며
이후 실사를 거쳐 2023년에 BIE 총회에서 169개국 회원국을 대상으로
투표를 통해 개최지로 결정되기 때문에 지금부터 준비해도 빠르지 않습니다
- 월드엑스포는 이미 아시아에서 일본 1회(1970년 오사카), 중국 1회(2010년) 개최한 바 있으나
우리나라는 OECD 회원 국가 중 GDP 경제산업 상위국가 중 유일하게 월드엑스포를 개최하지 못한 국가로
유치경쟁력이 높습니다
- 2025년 유치의향이 있었던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와 2025년 탈락했던 국가가 도전할 경우 다소 치열한 전망이 예상됩니다.
현재 러시아는 유치신청서 제출을 공식화('21.4.29.자) 한 상태이며, 5~6개국(사우디 리야드, 미국 휴스턴, 미네소타 / 중국 광정우, 텐진 / 아제르바이잔 바쿠 / 프랑스 파리 / 캐나다 몬트리올 / 네덜란드 로테르담 )
예상 경쟁국입니다.
-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제고
▸ 경제올림픽인 월드엑스포 유치로 세계 10위권의 경제력 규모에 맞는 국력 마케팅과 국격 제고 기회
- 국만소득 5만불 시대 도약
▸ 88 서울올림픽(국민소득 1만불), 2002한일월드컵(국민소득 2만불로 성장), 2030월드엑스포(국민소득 5만불 시대로의 도약)
- 일자리 50만개 창출
▸ 주제관련 과학·기술·산업의 획기전 발전과 경제활력 증진 등으로 50만개의 일자리 창출
- 43조원 생산유발 효과, 18조원 부가가치유발 효과
▸ 4차 산업혁명 선도, 산업 및 연관기술 연계 발전
- 동남권의 제2경제권의 부흥과 국가 균형발전 촉진
▸북항 재개발, 부산 대개조를 견인하여 원도심 개발 모범사례 창출
▸부산.경남.창원.울산 등 동남권이 동북아 핵심경제권으로 부상
엑스포 종류 구분 월드엑스포(World EXPO) 특별엑스포(Specialized EXPO)
주제 광범위한 주제 명확한 특정 주제
기간 6개월 3개월
주기 매 5년 월드 EXPO 사이
전시면적 제한없음 25ha 미만
비용분담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참가국이 자비로 국가관 건설 개최국이 국가관을 건축하고참가국에서 무료임대
사례 중국 상하이(2010)
이탈리아 밀라노(2015)
UAE 두바이(2020) 한국 대전(1993)
스페인 사라고사(2008)
한국 여수(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