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개요
세부사업명 | 청년공간이음 사업 | ||
---|---|---|---|
회계연도 | 2023년도 | 회계명 | 일반회계 |
부서명 | 청년희망정책과 | 분야명 | 일반공공행정 |
정책사업 | 시민이 행복한 시민중심 시정 구현 | 단위사업 | 자율적 청년활동 지원기반 조성 |
사업목적 | ㅇ 생활권을 기반으로 청년활동 등 청년정책의 전달체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공간 인프라 구축 및 운영 활성화 지원 ㅇ 청년 누구나 공간을 편하게 찾고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사업기간 | 2023-01-01 ~ 2027-12-31 |
총사업비 | 7,940,000,000원 | 사업규모 | ㅇ 구군별 1개소 “동네 청년활동공간” 조성 : 16개소('23. 6개소) ㅇ 청년공간이음을 통한 동네 청년활동공간 활성화 지원 : 평균 30개 공간('23. 26개소) |
사업내용 | 1. 구군별 1개소 “동네 청년활동공간” 조성 및 운영 지원 : 16개소('23. 6개소, '24. 4개소, '25. 3개소) 2. 청년공간이음을 통한 동네 청년활동공간 활성화 지원 - 청년공간이음 협의체 운영 : 분기 1회 정기회의 및 워크숍 개최 ▻“부산청년센터”를 거점 광역센터로 시, 구군 청년과의 연계 협업체계 마련 ▻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구군 담당자 및 청년공간 운영자 대상 ▻ 종합상담 및 자원 연계, 청년지원정보 제공 등 청년정책 홍보체계 마련 - 청년공간이음 온라인플랫폼 구축(‘22. 하반기) : 프로그램 안내, 대관 신청 기능 등 - 청년공간이음 브랜딩 : 청년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하도록 청년공간 현판 부착 - 운영시간 확대 : 청년 일상을 감안한 운영시간인 평일 야간, 주말 운영 확대 지원(‘23.~) ▻ 공간 활성화를 위한 공간 매니저 인건비(15백만원), 프로그램 운영비(5백만원) 시비 지원 (구군비 50% 별도, 평균 30개 공간) | ||
지원형태 | 자치단체보조 | 지원조건 | 1.동네 청년활동공간 미운영 구군 우선지원 : 구군별 1개소 2.청년의 일상을 감안 청년활동공간별 평일 야간, 주말 확대 운영 지원(공간운영 매니저 및 프로그램비) |
사업위치 | 구군 청년활동공간 | 시행주체 | 구군 |
추진근거 | 부산광역시 청년 기본 조례 제19조 (청년공간의 설치·운영 및 지원) | ||
추진경위 | 민선8기 시장 주요공약사업 | ||
추진계획 | ○ ’23. 1.~ 2. : 청년공간이음 지원계획 수립, 사업비 교부 ○ ’23. 2.~12. : 구군별 사업 추진 |
소요재원
(단위 : 원)
재원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
계 | 352,500,000 | 0 | 352,500,000 |
국고보조금 | 0 | 0 | 0 |
지특보조금 | 0 | 0 | 0 |
기금보조금 | 0 | 0 | 0 |
특별교부세 | 0 | 0 | 0 |
소방안전교부세 | 0 | 0 | 0 |
시·도 비 | 352,500,000 | 0 | 352,500,000 |
특별교부금 | 0 | 0 | 0 |
시·군·구 비 | 0 | 0 | 0 |
지방채 | 0 | 0 | 0 |
월별지출계획(배정)
(단위 : 원)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252,500,000 | 0 | 0 | 0 | 100,000,000 | 0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0 | 0 | 0 | 0 | 0 | 0 |
과거집행현황(최근5년)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0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