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新闻

1023天的避难之都,如今变身和平之都

容纳无数战争难民的城市.…“北港”成为战后最贫困国家崛起的原动力


2_1 

图为:釜山港全景。


*韩文内容在下面。


韩国政府为什么把釜山选为申办2030世博会的有力候选城市?因为它是一座见证韩国近代历史的重要城市,更是促进“汉江奇迹”的原动力。釜山容纳了无数的战争难民,抚慰了他们的战争伤痛,堪称举办世博会的最佳候选城市。

1876年,朝鲜与日本签署了《江华条约》,开放釜山港。釜山也因此登上了世界历史的舞台。连接首尔与釜山的京釜线火车和釜山港沦为日本帝国主义掠夺朝鲜物资的通道,无数被强制征用的朝鲜人也正是通过这条通道含泪离开了生养自己的故土,饱受摧残后又重新归来。6·25战争爆发后,全国各地的难民如潮水般涌入釜山,釜山在这1,023天里充当了大韩民国的避难首都。

战争爆发前,釜山总人口约40万人,但6·25战争爆发后,人口猛增到100万以上。釜山承载了比自己“身躯”还要多的难民,为他们提供了一个避风的港湾。散落于高坡之上的矮屋,坐落在半山腰处的“山腹道路”,就是这段历史留下的印记。尤其是2030釜山世博会的预定举办地——北港一带,曾经是一个密不透风的简陋棚屋区。那时,男人们主要靠在北港码头做卸货之类的体力劳动糊口;女人们则在扎嘎其市场、国际市场、富平市场等靠搬运鱼类或摆摊卖鱼维持生计。当时人们生活的痕迹仍刻在釜山老城区(即旧市中心,是东、西、中、影岛区的总称)的每一个角落。


2_2 

图为:❷1882年釜山港;❸1925年,一艘渡船停靠在釜山港;❹6·25战争当时在釜山港2号码头卸下的弹药;❺1970年釜山港和韩国海洋大学;❻1980年釜山港HJ造船厂。

釜山的招牌“猪肉汤饭”和“小麦面”也是6·25战争催生的美食。在物资极具短缺的战争时代里,人们吃不起昂贵的牛肉,只能以廉价的猪杂碎煮汤代替,于是就诞生了如今被誉为釜山人灵魂美食的“猪肉汤饭”;“小麦面”更是用当时救济物资的面粉掺和淀粉来代替冷面的主材荞麦。就这样,釜山以自己独特的方式克服了战争的伤痛,并不断包容不同的文化与人,发展至今。

釜山市选定的2030世博会预定举办地“北港”更是打造“汉江奇迹”的原动力。“北港”使韩国由接受援助的国家发展成为对外援助的国家。战争结束之后,各种救济物资经过釜山港流入国内,推动了韩国战后的重建,也正是通过这条通道,将韩国劳动者们用辛勤汗水制造的商品出口到了全球各地。如今釜山港已经发展成为物流量排名世界第七的东北亚物流中心。

釜山市与韩国政府正是想借助2030釜山世博会向世人讲述釜山的历史以及釜山对于和平的向往。我们期待能在釜山这座世界近现代史的重要舞台上,以世博会重新开启通往未来的旅程。


---------------------------------------------------------

1천23일의 피란수도, 평화의 상징으로 거듭나다
피란민 품은 포용의 도시…전후 최빈국 일으킨 원동력 ‘북항’


한국이 2030세계박람회 개최 예정지로 부산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부산은 한국이 세계 근현대사에 등장하는 중요한 현장이자 ‘한강의 기적’을 견인한 원동력이다. 전쟁의 아픔을 이겨내고 포용한 도시로 세계박람회를 개최하는데 더없이 어울리는 곳이라 하겠다.

부산은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부산항을 개항하며 처음 세계사에 등장했다. 서울과 부산을 잇는 경부선과 부산항은 일제강점기 수탈의 통로가 됐으며, 강제 징용된 많은 조선인이 이 길을 통해 눈물을 뿌리며 떠나고 돌아왔다. 6·25전쟁기에는 전국 각지의 피란민이 몰리며 1,023일간 대한민국의 피란수도를 담당했다.

전쟁 전 부산의 인구는 약 40만 명이었으나 전쟁기에는 100만 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부산은 제 몸집보다 훨씬 많은 피란민을 포용하며 전쟁의 아픔을 이겨내도록 감쌌다. 높은 언덕까지 자리한 부산의 작은 집들과 산길을 따라 들어선 산복도로가 이때 생겨났다. 특히 2030세계박람회 개최 예정지인 북항 인근에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판잣집이 들어섰다. 남성은 주로 북항 부둣가에서 하역 등의 육체노동을 했고, 여성은 자갈치시장·국제시장·부평시장 등지에서 어물을 나르거나 좌판을 벌여 생계를 유지했다. 이때 살던 흔적은 동·서·중·영도구를 합쳐 부르는 원도심(구도심) 곳곳에 여전히 남아있다.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인 ‘돼지국밥’과 ‘밀면’도 6·25전쟁 때 만들어졌다. 비싼 소고기 대신 배도 부르고 값도 싸고 영양가 있는 돼지 부속물로 국밥을 만들었고, 구하기 힘든 메밀 대신 구호물자인 밀가루에 전분을 섞어 면을 만들어 냉면 대용으로 먹기 시작한 게 밀면이 됐다. 이렇게 부산은 전쟁의 상처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극복하고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포용하며 발전해 왔다.

부산시가 2030 세계박람회 개최 장소로 정한 북항은 한국이 전쟁 이후 세계의 도움을 받던 최빈국에서 오늘날 도움을 주는 나라로 성장한 ‘한강의 기적’을 견인한 원동력이다. 각종 구호물자가 부산항을 통해 들어와 나라의 재건을 도왔고, 부지런한 노동자들의 피땀으로 만든 제품 역시 이곳으로 거쳐 전 세계로 수출됐다. 오늘날 부산항은 물동량 세계 7위를 자랑하는 동북아 물류 허브로 성장했다.   


부산시와 한국정부는 2030부산세계박람회를 통해 부산의 역사적인 이야기와 평화의 메시지를 세계인들에게 전하려 한다. 세계 근현대사의 중요한 기점이 됐던 부산에서 미래를 열어갈 새로운 엑스포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