釜山荣膺亚洲第六宜居城市,儿童生活质量全国领先
釜山儿童友好型政策成果显著,提升全龄段居民生活品质
图为 : 在釜山镇区宋象贤广场喷泉边玩水的儿童们。ⓒ釜山日报
*韩文内容在下面。
在最新公布的“2024年全球宜居指数”和“2024年韩国儿童生活质量”研究报告中,釜山分别位列亚洲第六位和韩国第一位,向着“来生还想居住的幸福城市”的目标不断迈进。
根据英国经济分析机构经济学人智库(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发布的“2024年全球宜居城市指数”报告,釜山连续第二年蝉联亚洲第六名。该指数通过评估稳定性、医疗、文化与环境、教育和基础设施等五个方面,对世界主要城市的生活条件进行综合分析。今年,釜山的综合得分保持在87分,与去年持平,显示出其在生活条件方面的稳定性和持续性。
与此同时,由救助儿童会与首尔大学社会福利研究所联合发布的“2024年韩国儿童生活质量”报告中,釜山被评为韩国17个市和道中儿童生活质量最高的地区。该报告综合了健康、主观幸福感、儿童关系、教育和居住环境等多个维度,釜山的综合得分达117.38分,特别是在健康、儿童关系和居住环境方面表现突出,获得了全国最高分。
自2019年成为首个获得联合国儿童基金会“儿童友好城市”认证的广域自治政府以来,釜山市持续推进多项政策,致力于打造理想的儿童成长环境。市政府以“让儿童感到幸福的城市——釜山”为愿景,制定了包括基础设施建设、安全保护、健康保健、游戏休闲在内的64项核心任务,力求通过综合措施提升儿童生活质量。
釜山所取得的成就不仅反映了城市整体生活水平的提高,还得益于儿童友好型政策的推广,例如儿童复合文化空间“得乐纳乐(들락날락)”的建设和“综合儿童保育政策”的实施。这些政策有力促进了城市品牌价值的提升,为各年龄段的居民创造了更加宜居的环境。
釜山市长朴亨埈表示:“釜山凭借得天独厚的自然美景和人文氛围,成为了一个非常适合居住的城市。这些成绩具体展现在我们为了成为“全球枢纽城市”和“来生还想居住的城市”所付出的努力。我们将继续积极宣传釜山的魅力和价值,同时不断提升城市的全球影响力。”
--------------------------------------------------------------------
부산, 아시아 살기 좋은 도시 6위 선정 … 아동 삶의 질 전국 최고
어린이 친화적 정책 성과 ‘톡톡’ … 전 연령대 시민 삶의 질 향상 견인
부산시가 최근 발표된 '2024 세계 살기 좋은 도시 지수(The Global Liveability Index 2024)'와 '2024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연구 결과에서 각각 아시아 6위와 국내 1위에 선정되며,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행복도시'라는 목표를 향해 순항 중이다.
부산은 영국 경제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 EIU)이 발표한 '2024 세계 살기 좋은 도시 지수'에서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아시아 6위를 기록했다. 이 보고서는 안정성, 의료, 문화와 환경, 교육, 기반시설 등 5개 분야를 평가해 세계 주요 도시들의 생활 여건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올해 종합평가에서 87점을 받아 지난해와 동일한 점수를 기록하며 순위를 유지했다.
부산은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가 발표한 '2024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연구 결과에서도 전국 17개 시도 중 아동의 삶의 질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선정됐다. 부산은 모든 영역에서 평균을 훨씬 웃도는 점수를 받아 종합지수 117.38점을 기록했다. 이 보고서는 건강, 주관적 행복감, 아동의 관계, 교육, 주거환경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한 것으로, 부산은 이중 건강, 아동의 관계, 주거환경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부산시는 2019년 광역자치단체 최초로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획득한 이래, 아동이 행복한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아동이 행복한 도시 부산'이라는 비전 아래, 아동권리 실현 기반 조성, 안전과 보호, 건강과 보건, 놀이와 여가 등 4대 분야 64개 핵심과제를 선정해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부산의 이러한 성과는 도시의 전반적인 생활 수준 및 도시브랜드 가치 향상과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들락날락 조성’ ‘통합돌봄정책’ 등 아동 친화적인 정책 추진이 빛을 발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은 천혜의 자연과 따뜻한 정을 가진, 이미 그 자체로 살기 좋은 도시다. 이번 성과는 부산을 '글로벌 허브도시'이자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부산시의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드러난 것이다”라며 “부산의 매력과 가치를 전 세계에 더욱 적극적으로 알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