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부산남항 맞춤형 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상안전정보

부산남항 해양사고 발생현황[최근 3년간, 2021~2023]
계절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그래프
                                봄(3~5월) 30건, 여름(6~8월) 33건, 가을(9~11월) 24건, 겨울(12~2월) 22건

계절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봄철 유형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그래프
                    해양오염 16건, 충돌/접촉 2건, 화재/폭발 1건, 좌초/침몰 0건, 침수/전복 0건, 선박표류 5건, 추락/실족 9건

봄철 유형별 해양사고 발생현황

부산남항 겨울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
부산남항 겨울철 해양사고 발생현황(연도별/유형별) (연도/유형,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합계로 구성된 표)

유형

slash

연도

해양오염 충돌/접촉 화재/폭발 좌초/침몰 침수/전복 선박표류 추락/실족 합계
2021 4 0 1 0 0 3 4 12
2022 6 1 0 0 0 0 4 11
2023 6 1 0 0 0 2 1 10
누계 16 2 1 0 0 5 9 33
부산남항 사고분석 및 예방
  • 최근 3년간 여름철(6~8월) 해양사고 33건 발생 [해양오염 16건]
  • 6월은 인명피해(추락,실족,사망등)해양사고가 발생하는 시기이므로, 선박소유자, 선장의 안전관리 강화 및 철저한 안전교육 시행 필요
  • 어구, 줄 등 사용 전 점검 철저 및 사용 중 안전거리 유지, 장애물 적치 금지, 양망기 사용 시 2인 1조 작업 실시

부산남항 안전정보

주요 사고 사례를 통한 해양사고 예방 안내
  • 어선 A호 선원사망사건
어선 A호 선원사망사건 : 사건개요(선박, 일시장소, 피해, 상황, 날씨), 원인, 교훈 으로 구성
사건개요 선박

A호: 어선, 60.26톤, 길이 20.45미터

일시
장소

2018. 6. 28. 15:02경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등대로부터 327도 방향 약 1.1마일 해상

피해

A호: 선원 1명 사망

날씨

맑은 날씨, 남풍 초속 10미터, 파고 약 1.1미터, 시정 약 10마일

원인

이 선원사망사건은 선원(기관장)의 부주의와 선장의 안전관리 미흡 등으로 A호가 강도가 약한 계류용 피피로프(PP Rope)를 예인줄로 사용하여 부선을 선미 예인 중, 부선에 연결된 예인줄이 터지면서 A호 선미 갑판에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채 서 있던 선원(기관장)을 가격하여 발생

교훈
  • 예인선이 부선을 예인줄로 선미 예인할 때에는 예인줄의 상태 등을 철저히 확인한 후 안전한 방법으로 예인을 하여야 한다.
  • 예인선열은 예인 중 파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예인줄의 절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선원들이 예인줄을 연결한 후 즉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 선장은 선내작업 중 다양한 유형의 위험을 대비하여 작업상황을 철저히 점검하고, 선원들이 안전모·구명동의 등의 개인보호장구를 착용하도록 지시·감독하여야 한다

자료관리 담당자

선박신고팀
김승호  (051-250-9528)
최근 업데이트
2024-06-04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