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해양용어사전

목록내 검색
검색

1416건 (6/142)

검조주
조위를 직접 읽을 수 있도록 해수에 움직이지 않게 세운 눈금이 달린 표척을 말한다.
겉보기산소소비량
표층수가 침강하기 이전에 산소가 포화되어 있다는 가정아래, 표층수가 침강하여 오랜 시간이 경과한 뒤 심층에 도달한 심층수의 산소농도를 뺀 값을 말하며, 이 양은 해수가 침강하면서 소비된 산소농도이다.
게놈
생물이 생존하는 데 꼭 필요한 최소 염색체 1조를 게놈이라 한다. 생물의 체세포 염색체는 보통 쌍을 지어 있으므로 2n개가 있는데, 1/2개인 n개 염색체가 게놈이 된다. 게놈을 통해서 생물사이의 관계와 분류가 가능하며, 여러가지 유전현상을 해석할 수 있다.
게조
역전조류에서 창조류와 낙조류의 흐름 방향이 바뀔 때 유속은 0이 되는데 이 상태를 게조라 하며, 게류·휴조·정체수라고도 한다. 역전조류에서 조류는 직선적이며 보통 한 방향으로 최강이 되고 차차 유속이 감소되어 마지막에는 흐름이 정지하는 게조 상태가 된다. 이후 반대방향으로 흐르기 시작하여 유속이 증가하며 최강류에 달한 후 유속은 감소되어 다시 게조가 되고, 이것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결빙
해수의 냉각을 말한다
경계류
중위도 해역에서는 편서풍에 의한 해양순환이 있어서 적도를 경계로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흐르면서 대칭적인 양 대류를 이루고 있다. 이 순환들의 중심은 태평양이나 대서양 모두 서쪽에 위치하는데, 북반구의 경우 순환의 오른쪽에서는 10cm/s미만의 극히 완만한 해류가 남쪽으로 흐르고, 순환의 왼쪽인 대양의 서쪽에서는 100km정도의 좁은 폭을 가진 1㎧정도의 빠른 해류가 북쪽으로 흐른다. 여기에서 대양의 서해안 가까이에서 북으로 흐르는 흐름을 서안경계류라 하며 쿠루시오해류와 멕시코만류가 대표적이고, 대양의 동해안 가까이에서 남으로 흐르는 흐름을 동안경계류라 하며 캘리포니아해류와 카나리해류가 대표적이다.
경골어류
몸에 딱딱한 뼈가 있는 어류로서, 대부분의 어류가 경골어류이다. 경골어류는 위아래에 턱을 가지고 있으며, 대개는 몸 표면에 비늘이 있고 아가미는 보통 4쌍이며 부레를 가지고 있다. 심장은 아가미의 아래쪽에 있고 1심방 1심실이며, 대부분이 난생이다.
경도
위도와 함께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로서 북극과 남극을 지나는 자오선을 경도라 하며, 어떠한 지점을 통과하는 자오선과 본초자오선(그리니치자오선)이 각각 적도와 마주치는 두 점이 지구의 중심부에서 이루어지는 각을 말한다. 본초자오선을 기점으로 하여 동쪽에 위치하는 것을 동경, 서쪽에 위치하는 것을 서경이라 하며, 동·서로 180까지 측정한다. 지구는 24시간에 360°회전하고 그 회전각도와 경과시간은 비례함으로, 경도는 각도 대신 시간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경도 15마다 1시간씩의 차이가 생기며, 본초자오선에서 동쪽으로 갈수록 시간이 빠르고, 서쪽으로 갈수록 늦어져서 경도 180에서는 1일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적도에서 경도 1°간의 거리는 약 111km이며, 우리나라 (위도 36°부근)는 약 90km로 북쪽으로 갈수록 그 거리가 짧아져 북극에서는 0이 된다.
경도류
경사류
경도풍
등압선이 원형인 경우, 수평방향의 기압경도력과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 등압선의 곡률에 의한 원심력의 3개 힘이 균형을 이루었을 때 등압선을 따라 부는 바람을 말하며, 지상 약 2km이상의 상층풍이 경도풍에 가깝다. 경도풍은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 때문에 북반구의 저기압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고기압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불며, 남반구에서는 방향이 반대이다.

자료관리 담당자

전시팀
남영웅 (0515508824)
최근 업데이트
2023-01-11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