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부산이야기 10월호 통권 144호호 기획연재

도심 속 자연과 함께 부산 고대역사 둘러보는 길

부산 고대역사 유적 배산성지·연산동 고분군 … 시민 휴식처 배산둘레길·온천천

내용

연제구는 기존의 연산동과 거제동을 아우르는 지역으로, 현재 부산광역시청을 비롯해 부산광역시의회, 부산지방법원, 부산지방검찰청, 부산지방경찰청 등 부산의 주요 관공서가 밀집해 있는 부산의 행정중심지다. 뿐만 아니라 연산교차로 주변으로 상업,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전문기관이 모여 있는 명실상부한 부산의 신흥 상권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또한 배산(盃山)을 중심으로 고대 부족국가의 흔적이 남아있고, 연산동 고분군에서는 삼국시대의 고분과 유구가 다량 출토되면서 부산 고대역사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역사문화벨트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번 ‘걸어서 만나는 부산 역사’는 신라 초기 복속된 가야의 소국 ‘거칠산국’의 역사적 발자취를 따라 ‘배산성지’를 시작으로 가야·삼국시대의 지도자급 무덤이 있는 ‘연산동 고분군’, 시민들이 즐겨 찾는 ‘온천천시민공원’과 연제구와 동래구를 이어주던 이섭교 개설에 대한 내용을 기록해놓은 ‘이섭교비’ 등 부산의 고대역사를 따라 걸어본다.


배산 정상에서 바라본 연산동 고분군.

▲배산 정상에서 바라본 연산동 고분군.


시민들이 즐겨 찾는 ‘배산둘레길’


배산 초입부터 깔딱고개와 만난다. 만만하게 볼 상대가 아니다. 주택들이 둘러싸고 있는 도심 속 작은 산이라 쉽게 봤는데, 시작부터 숨이 턱까지 찬다. 다른 산에 비해 지천에 닭의장풀이 특유의 남색 꽃을 앞 다투어 피워내고, 아름드리 상수리나무와 도토리나무가 큰 숲을 이루며 가을의 무게를 못 이긴 채 꿀밤, 도토리 열매를 툭툭 떨어뜨린다.

 

깔딱고개를 넘어서니 바람도 쉬어간다는 바람고개가 나온다. 군데군데 체육시설과 정자 등 쉼터가 잘 조성돼 있는 것도 주택가 산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약수로 목을 축인 뒤 갈림길에서 배산 정상으로 다시 가파른 길을 오른다. 땀이 쉴 새 없이 흘러 마치 물에 빠진 생쥐 꼴이다.


한참을 정신없이 오르다보니 전망대와 만난다. 전망대에 서니 가슴이 확 뚫린다. 광안리 앞바다와 광안대교, 금련산, 황령산, 행경산 능선이 일필휘지(一筆揮之)하고, 그 사이로 수많은 주택들이 알알이 자리하고 있다. 어느 풍경 하나 거칠 것 없이 펼쳐진다.

 

여기서부터 배산둘레길. 오솔길이 정말 아름답다. 호젓하고 굽이굽이 꺾어들며 오르내리는 품이 아기자기하다. 노송들이 줄지어 서서 지그시 나그네를 내려다보는 모습도 참 좋다. 시끄럽지 않게 새들도 지저귀고 바람소리마저 함께 뒤를 따르는데, 가히 신선의 경지라 할 만하다.

 

 

배산성지는 연제구 연산동 배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성터다. 신라가 이곳을 통치하기 이전 토착세력인 ‘거칠산국’의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배산성지는 연제구 연산동 배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성터다. 신라가 이곳을 통치하기 이전 토착세력인 ‘거칠산국’의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거칠산국 흔적 오롯한 ‘배산성지’

 

잠시 오르막을 거치니 배산 정상이다. 연제구 시가지가 한눈에 펼쳐진다. 멀리 금정산이 큰 능선을 이루고, 도심 사이로 마안산, 옥봉산, 그 뒤로 윤산 등이 도시를 병풍처럼 떠받치고 섰다. 발 아래로 아파트 단지가 줄을 이어 서있고, 왼편으로는 연산동 고분군의 고분들이 초록의 봉분을 편안하게 누이고 있다.


이곳 정상을 중심으로 배산의 허리둘레까지 외부의 침략을 막기 위해서 흙으로 성을 쌓았는데 그 성이 바로 배산성이다. 현재는 다 허물어져 기초부분 등 일부 유적만 남았기에 배산성지라 부른다. 배산성지는 부산시 연제구 연산동 배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성터. 언제 쌓은 것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신라가 이곳을 통치하기 이전 토착 세력집단이 쌓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옛 지명인 거칠산국(居漆山國)의 유적으로도 이야기하고 있다.


성은 흙으로 쌓은 토성의 형태로, 배산을 중심으로 산의 허리 부분과 정상 부근 등에 각각 쌓은 것으로 보인다. 산허리 부분에서 나사 모양으로 정상을 향해 둘러싸고 있는 모습으로,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있다.

 

산 정상 바로 아래에는 폭 2m의 웅덩이가 있는데, 당시 성안 사람들의 식수를 모아두는 집수지로 추정하고 있다. 급경사의 하산 길에 있는 집수지는 지금 한창 공사가 진행 중이다. 배산성지 집수지 복원공사 현장인데, 언뜻 보니 돌무덤 같기도 하고 집수지의 유구 같기도 한 돌무더기가 주위로 흩어져 있는 것이 보인다. 성지 주변 곳곳에는 그릇조각과 기와조각들이 많이 발견돼 배산성이 오랜 기간 성안 사람들을 지키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배산성지는 1972년 부산시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됐다.


연산동 고분군은 삼국시대 부산지역을 다스린 지배자들의 고분군으로 5~6세기 부산지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연산동 고분군은 삼국시대 부산지역을 다스린 지배자들의 고분군으로 5~6세기 부산지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이다.


부산 고대사 중요한 유적 ‘연산동 고분군’


쏟아지는 경사의 배산을 허리께까지 내려오니 연산동 고분군으로 접어드는 갈림길이 보인다. 한쪽 경사면으로 눈을 돌리니 그 전체가 분홍색 구름인 양 자잘한 여뀌 꽃으로 뒤덮여 있다. 장관이다. 마치 분홍안개가 자욱하게 내린 듯하다.


오솔길을 돌아들면서 밤나무 밑으로 밤송이가 나뒹굴고, 산비둘기 한 마리가 길 위에서 모이를 쪼고 있다. 또 한 굽이 도니 망주석(望柱石) 2기가 한 쌍으로 서 있다. 망주석은 무덤 앞 양쪽으로 세우는 팔각형 돌기둥을 말한다. 비석을 보니 밀성 박공 유택의 망주석인 듯한데, 지금은 유택과 망주석이 오솔길 양쪽으로 따로 떨어져 있는 모양새다.

 

이러구러 길을 따르니 어느새 연산동 고분군. 연산동 고분군은 삼국시대 부산지역을 다스린 지배자들이 묻혀있는 고분군으로, 부산시 연제구 연산동에 소재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유일하게 큰 봉분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고분군이기도 하다.

 

연산동 고분군은 배산 북쪽의 완만한 구릉지역을 따라 18기의 큰 봉분이 일렬로 배치돼 있고, 능선 경사지로는 1천여 기의 고만고만한 크기의 무덤들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영남 지역에서 제일 큰 규모의 구덩식 돌덧널무덤(수혈식 석관묘)이 발굴돼 5~6세기 부산과 영남지역의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몇 차례 발굴조사를 하면서 굽다리접시, 항아리, 항아리 받침대, 독 등의 토기와 칼, 도끼, 화살촉과 화살통, 철갑 등의 무기, 말안장과 재갈, 마구 등의 유물들이 출토됐는데, 특히 삼국시대 봉분으로는 국내 최초로 갑옷과 투구가 출토된 고분으로 그 역사적 가치가 높다.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대한민국 사적 제539호로 지정됐다.


잔디로 파릇파릇 단장한 크고 작은 고분 주위를 걸어본다. 고분 사이사이로 삐죽삐죽 삐져나온 아파트들이 묘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저러나 고분군을 따라 조성한 산책로에는 많은 시민들이 나와 청명한 가을을 맘껏 즐기고 있다. 참으로 평화로운 시간들이다.


이섭교비는 1694년 조선 숙종 20년에 동래구 안락동과 연제구 연산동을 이어주기 위해 온천천에 돌다리인 이섭교를 놓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빗돌이다.

▲이섭교비는 1694년 조선 숙종 20년에 동래구 안락동과 연제구 연산동을 이어주기 위해 온천천에 돌다리인 이섭교를 놓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빗돌이다.


온천천과 사람 이어주던 ‘이섭교’

 

연산동 고분군에서 안락교차로 방면으로 길을 잡는다. 온천천 연안교를 지나 동래구 낙민동 낙민치안센터 앞. 이섭교비(利涉橋碑)가 서있다. 이섭교비는 1694년 조선 숙종 20년에 동래구 안락동과 연제구 연산동을 이어주기 위해 온천천에 돌다리인 이섭교를 놓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빗돌이다.


원래 이섭교는 나무판으로 된 다리였으나 다리가 쉽게 썩어 매년 새로 고쳐야 하는 번거로움과 통행의 불편함 때문에 돌다리로 개설하게 된 것. 세 개의 아치 모양의 홍예(무지개)를 틀어 연결한 다리로, 1635년 조선 인조 13년 동래부사 이희룡에 의해 준공됐다.

 

이섭교를 세운 후 이희룡은 이섭교의 건설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 명단과 역사를 빗돌에 새겨 놓았는데 이것이 바로 이섭교비이다. 당시의 사정을 자세히 기록한 빗돌의 비문 때문에 귀중한 향토사 연구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한때 일제에 의해 금강공원으로 이전, 정원의 조경물로 전락하는 치욕을 겪기도 했지만, 2012년 민족정기 회복 차원에서 현재의 자리로 이전 복원됐다.


온천천시민공원은 온천천 강변에 조성된 하천시민공원이다. 온천천을 따라 산책로와 각종 체육시설이 잘 마련돼 있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온천천시민공원은 온천천 강변에 조성된 하천시민공원이다. 온천천을 따라 산책로와 각종 체육시설이 잘 마련돼 있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다.

 

 

 

자연·역사·사람 어우러지는 ‘온천천시민공원’

 

가을의 온천천변을 걷는다. 가을로 접어든 온천천에는 한층 싱그러운 풀냄새와 시원한 물소리가 그윽하다. 푸르른 온천천 물길이 자잘하게 흐르고, 물가에는 능수버들이 여유롭게 바람에 흔들린다.

 

흐르는 강물 사이로 한 무리의 피라미 떼들이 물살을 거스르고 있다. 어떤 놈은 물 위로 펄쩍 튀어 오르기도 하며 물길을 한껏 만끽하고 있다. 연제구와 동래구를 잇는 다리 밑으로는 팔뚝만 한 잉어 떼와 잉어 치어 떼가 바글바글하다. 생명의 시작을 보는 듯하다.


‘온천천시민공원’은 온천천 강변에 조성된 하천시민공원이다. 온천천은 원래 수영강의 제1지류로, 금정산에서 발원해 금정구·동래구·연제구 등을 차례로 흐르다가 수영강에 합류한 후 광안리 앞바다로 흘러든다. 지명의 유래는 동래 온천을 관통하는 하천이라 하여 ‘온천천’이라 붙였다.

 

온천천시민공원은 온천천을 기대고 생활하는 다양한 식물과 어류, 조류 등을 거두어 키울 뿐 아니라, 매년 온천천을 배경으로 ‘온천천 벚꽃축제’ 등 다양한 지역 행사의 장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물고기 떼가 몰려다니는 수면 위로 고추잠자리들이 하늘을 발갛게 물들이며 날아간다. 이렇게 가을은 사람들 곁으로 살짝 다가와서 어느새 깊어가고 있음이다.

작성자
최원준
작성일자
2018-09-28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부산이야기 10월호 통권 144호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