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다이내믹 부산 제1635호 경제

산업단지 조성, 기업 찾아오는 도시로

□민선 10년 주요성과 – 경제
6년 연속 전입기업 증가, 일자리 늘려…전통시장 활력·서민경제 안정

내용

“부산, 매력적인 투자도시로 급성장했다.” “부산으로 기업들이 몰려온다.” 산업단지 조성으로 기업을 대거 유치하고 이를 통해 일자리를 크게 늘린 부산을 바라보는 국내 유수 언론의 한결같은 찬사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산업단지 조성에 각별한 공을 들였다. 산단 조성으로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고 더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풍요로운 부산경제를 창조하기 위해서였다. 부산의 산업단지는 1980년대 초까지만 해도 사상공단 정도에 불과했다. 1990년대 녹산과 신평·장림, 신호산단을 중심으로 산단 개발에 나섰지만, 산업용지는 늘 부족했다. 실제로 2006년까지 부산의 산단은 강서구 녹산, 기장군 정관농공, 사하구 신평장림까지 3개, 1천7만㎡에 불과했다. 허 시장 재임 10년이 지난 지금은 총 14개 산업단지에 총면적 2천329만㎡에 이른다. 넓이는 배 이상, 개수는 4배 이상 증가했다.

허남식 부산시장이 일자리 창출 추진보고회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허남식 부산시장은 산업단지 조성에 각별한 공을 들였다. 산단 조성으로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고 더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풍요로운 부산경제를 창조했다(사진은 허남식 부산시장이 일자리 창출 추진보고회에서 기조연설을 하는 모습).

강서구 미음(358만㎡), 강서구 국제산업물류도시 1단계(567만㎡), 기장군 방사선 의·과학(148만㎡) 단지까지 15곳, 1천200만㎡ 산단은 현재 조성 중으로 이들 산단 대부분은 내년 준공 예정이다. 내년이면 29개 산단이 들어서 2006년의 9.6배, 면적도 3.5배로 늘어난다.

산업단지가 늘어나면서 부산으로 옮겨오는 기업이 해마다 줄을 잇고 있다. 부산은 2008년 36개를 시작으로, 2011년 63개, 2012년 78개, 지난해 85개로, 6년 연속 기업 이전이 증가 추세다. 2006년 이후 부산으로 들어온 기업이 415개인 반면, 부산을 빠져나간 기업은 185개로 전입기업이 230개나 더 많다. 특히 대기업과 외국계기업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컨택센터 유치를 통한 일자리도 크게 늘렸다. 부산은 2005년 이후 컨택센터 93곳을 유치, 새 일자리 1만2천887개를 만들었다.

지난 2012년 10월에는 강서구 일원 등 부산전역 14.1㎢가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부산연구개발 특구는 △R&D 융합지구 3.20㎢(부산과학산단 및 대학 등 2.49㎢, 미음지구 0.71㎢) △생산거점지구 2.06㎢(녹산국가산단) △사업화촉진지구 4.20㎢(국제산업물류도시 1단계 대상지) △첨단복합지구 4.64㎢(국제산업물류도시 예정지) 등이다.

강서를 중심으로 대학과 연구소가 있는 금정·영도·사하·부산진·연제구 일원 등 부산전역을 두루 포함한다.

부산은 특구지정으로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으로 각광받는 해양플랜트산업을 고도화할 기반을 확충하고, 향후 10년 내 생산유발 58조원, 33만명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부산시는 특구를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 △그린해양기계 등 조선해양플랜트산업 중심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이밖에도 방사선 의·과학단지 조성, 수출용 신형 연구로 유치, 부평깡통야시장 등 전통시장 활성화 등의 성과를 냈다. 특히 시설 현대화 등 전통시장의 환경을 크게 개선해 서민경제 안정에도 온 정성을 기울였다.
 

해양수도 위상 높이고 인프라 확충
2006년 부산신항 개장…해양·수산분야 고루 발전

부산은 지금 '동북아 해양수도·물류허브'로 우뚝 섰다. 1876년 개항한 부산항은 지난해 1천760만TEU의 컨테이너를 처리, 사상최대 실적을 거두며 승승장구 중이다. 부산항이 세계 5대 항만으로 발돋움한 바탕에는 부산신항〈사진〉이 있다.

부산신항

허남식 부산시장은 부산신항 개발에 각별한 애정을 쏟았다. 2004년 시장에 취임하자마자 부산신항 조기개장을 위해 정부의 예산 지원 확대를 이끌어냈고, 규모를 당초 25개 선석에서 30개 선석으로, 개장시기도 부두별로 1~3년 앞당겼다. 그 결과 2006년 개장한 부산신항은 현재 22선석을 가동 중이다. 부산신항이 처리하는 물동량은 2012년부터 부산항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고 지난해는 62% 수준에 이른다.

부산항이 세계 5대 컨 항만, 세계 3대 환적항만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수산분야에서는 자갈치시장 및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감천항 국제수산도매시장 개장, 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부두 조성 등의 성과를 냈다.
 

동북아 금융허브 만들기 큰 걸음
문현 금융중심지 유치… 부산국제금융센터 조성

“동북아 금융중심지 부산-.” 부산은 2009년 1월 서울과 함께 국내 첫 금융중심지로 지정됐다. 부산은 금융중심지 지정 이후 2010년 '부산 금융중심지 마스트플랜'을 수립, 동북아 금융허브의 꿈을 하나하나 실현에 옮겼다. 금융중심지 마스트플랜은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복합개발 △BIFC 내 금융관련 공공기관 이전 △파생상품 R&D센터 설립 △국제금융네트워크 구축 △부산특화 금융전문인력 양성 등으로 부산의 원대한 꿈을 모두 담았다.

부산국제금융센터

한국의 금융중심지를 뛰어넘어 동북아의 금융허브로 도약중인 부산국제금융센터〈사진〉는 2011년 2월 부지조성공사를 완료하고 지금은 랜드마크건물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다. BIFC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예탁결제원, 대한주택보증, 한국남부발전, 한국청소년상담원 같은 수도권에서 부산으로 이전하는 6개 공공기관과 부산이 본사인 한국거래소, 농협중앙회 부산본부 등이 옮겨온다.

허남식 부산시장은 부산이 힘을 합친 결과, 금융중심지 지정이라는 쾌거를 이룰 수 있었다며 시장 재임기간 금융중심지 지정에 보내 준 부산시의회, 지역경제계, 금융권, 부산시민의 열정에 늘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다.

작성자
조민제
작성일자
2014-06-25
자료출처
부산이라좋다
제호

부산이라좋다 제1635호

첨부파일
부산이라좋다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전글 다음글

페이지만족도

페이지만족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균 : 0참여 : 0

댓글은 자유로운 의견 공유를 위한 장이므로 부산시에 대한 신고, 제안, 건의 등 답변이나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부산민원 120 - 민원신청 을 이용해 주시고, 내용 입력시 주민등록번호, 연락처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광고, 저속한 표현, 정치적 내용, 개인정보 노출 등은 별도의 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부산민원 120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