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

- 2020.1.1. 기준 부산시 개별공시지가 결정 -

부산시 개별공시지가, 평균 상승률 6.15%
부서명
토지정보과
전화번호
051-888-2612
작성자
박창복
작성일
2020-05-28
조회수
1345
공공누리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이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제목
◈ 전반적인 경기침체 등으로 올해 개별공시지가 상승률 6.15%… 전년(9.75%) 대비 3.61% 하락, 전국 평균(5.95%)보다는 0.2% 높게 평가 ◈ 해운대 등 중심 상업지역 및 역세권 지역 현실화 반영, 재개발·재건축 및 대단지 도시개발지역 변동률은 다소 높으며, 대다수 일반토지·기존주택지의 공시지가는 보합세 유지 및 소폭 변동 ◈ 최고(最高) 지역은 부산진구 부전동 241-1번지(서면 LG유플러스)로 ㎡당 43,000,000원, 최저(最低) 지역은 금정구 오륜동 산80-2번지(임야)로 ㎡당 940원으로 조사
첨부파일
내용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는 2020년 1월 1일 기준 관내 16개 구·군의 개별 토지 68만8,244필지의 개별공시지가 조사·산정 결과, 평균 지가변동률이 6.15% 상승하여(전국 5.95%) 전년도(9.76%)보다 3.61% 하락하였다고 밝혔다.

 

  부산은 서울(8.25%↑)과 광주(7.26%↑), 대구(7.03%↑)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으며, 인근 울산(2.36%↑)과 경남(2.99%↑)의 개별공시지가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 지가 총액은 전년보다 18조 3,611억 원 오른 296조 5,193억 원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높은 변동률을 보인 ▲해운대구는 10.26%가 상승하였으며 이어 ▲부산진구가 7.39% ▲동래구 6.86% ▲남구 6.84% ▲수영구 6.79% 순으로 높았다. ▲강서구는 2.64%로 가장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이번 개별공시지가는 해운대 등 관광단지 활성화와 주요역세권 상업지역 지가 현실화 반영, 주택재개발·재건축 등 대단지 도시개발 호재 등이 부산지역 가격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전년 대비 하락 요인으로는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인한 부동산 경기 하락이 꼽혔다.

 

  이에 따라 해운대·부산진구, 동래구의 경우 해수욕장 인근 관광산업 활성화, 엘시티 준공, 중심상업지나 대형 상업‧업무용 건물, 센텀2산업단지 개발, 온천천·전포동 카페거리 활성화, 등 고가 토지를 중심으로 공시가격 변동률이 높게 나타났다.

 

  강서구는 김해신공항 확장사업 절차 지연으로 대저 1·2동 등 관련 지역 지가가 하락세로 전환되고, 최근 경기침체로 인해 화전산업단지 공장입주 지연 영향으로 약 보합세를 보였으며,

 

  부산시 용도지역별 변동률은 ▲주거지역 7.26% ▲상업지역 7.84% ▲공업지역 5.23% ▲녹지지역 6.18% ▲개발제한구역 4.66%의 상승을 보였다. 주거지역은 10.32%의 변동률을 보였던 전년보다 3.06% 하락하였다.

 

  다만, 대다수 일반토지와 기타 개발계획이 없고, 특별한 지가변동 요인이 없는 기존주택지의 공시지가는 보합세를 유지하거나 변동률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부산시 개별필지 지가가 제일 높은 토지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부산진구 부전동 241-1번지(서면 엘지유플러스)로 ㎡당 43,000,000원이며 가장 낮은 곳은 개발제한구역인 금정구 오륜동 산80-2번지(회동수원지 유입되는 철마천 중류 동측 임야)로서 ㎡당 940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공시지가는 인터넷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www.realtyprice.kr) 또는 구․군의 민원실과 홈페이지를 통해 열람 할 수 있다. 공시가격에 이의가 있는 경우 내일(29일)부터 6월 29일까지 구·군 민원실과 홈페이지에서 이의신청을 하면 된다. 이의신청이 제기되면 신청 내용을 재조사해 감정평가사의 검증 및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7월 27일 조정 공시 후 통보된다. 

 

  한편, 개별공시지가는 토지 관련 국세 및 지방세 부과기준으로 사용되며, 개발 부담금 등 약 60여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