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자료실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 작품 설명_#24. 박자현 Park Ja-hyun

부서명
학예연구실
전화번호
051-220-7400
작성자
전진이
작성일
2023-08-17
조회수
983
내용

#24. 박자현 Park Ja-hyun

 

박자현(1981- )은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작가로주로 펜으로 점을 찍어 그리는 기법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자들점차 황폐해지는 도시와 자연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작품을 그려오고 있다.

  〈밤을 외우기(2023), 해리흔적(2023)은 산의 능선무덤의 봉인간의 등 곡선을 그린 것이지만무엇이 자연이고무엇이 죽음이고무엇이 신체인지 구분하기는 어렵다이 모호하고 추상적인 형상은 자연과 인간은 물론무덤 하부에 집적된 셀 수 없이 많은 죽음을 연상시킨다.

  동일 크기의 캔버스를 가득 메운 창과 문 시리즈 연작은 사라진 부산의 성매매 집결지의 풍경과 흔적을 기록한 것이다본래 창과 문은 안과 바깥을 연결하는 매개체이지만이 공간에서 창과 문은 자유로운 출입과 소통이 제한되는 곳이자 투명성마저도 화려한 시트지로 가려져 내부에서 일어나는 폭력적 삶을 은폐하는 가림막으로 기능한다그러나 한국전쟁 이후 피난 여성들이 갇혀 있었던 백양대로(2021/2023), 구포 만세길(2023), 미남 과부촌(2023), 우암동 7부두(2018), 서동로(2023) 등 부산의 주요 성매매 집결지가 사라지게 된 근원적인 까닭은 여성 착취와 인권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부산의 도시 재개발 및 환경 정비 사업의 영향에 있다.

 

Park Ja-hyun (1981- ), based in Busan, reflects upon the marginalized in capitalist society and the deterioration of cities and nature, primarily using a technique of dot drawings in pen.

  Her latest trilogy, Memory of night (2023) and A Trace of Dissociation (2023), depicts the contours of mountains, burial mounds, and the curves of the human body. However, distinguishing which are images of nature, the human body, or monuments to the dead is difficult. Though depicting nature and the human form, these ambiguous and abstract shapes evoke the innumerable dead stacked deep within their tombs.

  A series of windows and doors, filling canvases of uniform size, document the landscapes and traces of the vanished red-light districts of Busan. Customarily, windows and doors serve as mediators connecting inside and outside spaces, but in this context, they become barriers restricting free entry and communication; their transparency masked by gaudy, adhesive film which veils and conceals the violent lives unfolding within. Yet,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isappearance of these major red-light districts, including Baekyangdae-ro (2021/2023), Gupo Manse Road (2023)Widowed Village in Minam (2023), Uam Pier 7 (2018), and Seo-dong Road (2023), where female refugees had been trapped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was not a push to end the exploitation of women or resolve human rights issues, but rather the effect of urban re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in Bus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