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자료실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 작품 설명_#17. 황재형 Hwang Jaihyoung

부서명
학예연구실
전화번호
051-220-7400
작성자
전진이
작성일
2023-08-17
조회수
632
내용

#17. 황재형 Hwang Jaihyoung

 

황재형(1952- )은 한국 민중미술단체 임술년, ‘구만팔천구백구십이에서를 조직한 주축 멤버이다작가는 태백 탄광촌에서 3년 동안 광부로 일하며 직접 보고 경험한 것을 토대로 탄광촌 노동자의 삶을 형식적 측면이 아닌내용적 측면에서 극사실적으로 담아낸다.

  박정희 정부 하 급속도로 추진된 산업화 정책은 광산 개발을 본격화했으나개발 과정은 물론휴광과 폐광 시 야기될 수질과 토지 오염에 대한 예방 조치는 전무했다그 과정에서 광산업주는 막대한 이익을 챙겼으나위험하고 고된 노동에 노출되었던 탄광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었고인근 하천과 농지는 황폐해졌다.

  〈광부(1984)는 정식 판화지 대신 임금 영수증을 사용해 제작한 판화 작품으로 당시 열악했던 노동 환경과 조건을 떠올리게 한다그는 광산촌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재료들실제 석탄 채굴 시 사용되는 도구들을 작품의 소재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직접적인 방식으로 예술과 삶의 만남을 추구하고자 했다석탄으로 그려진 검은 산의 검은 울음(1999-2008)은 1989년 석탄 산업 합리화 정책에 따라 몰락하는 탄광촌사람이 사라진 폐광의 광경을2008, 탄천의 노을(2008)은 폐수 처리 시설이 없어 방류된 탄가루와 온갖 오물이 뒤섞인 사북 지역의 탄천에 드리우는 황금빛 노을 풍경을 묘사한다최근 작가는 머리카락을 재료로 작품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데풍선껌(2013-2016)은 폐광 이후의 태백 마을을 기록한다작가에게 머리카락은 인간 삶의 일대기가 고스란히 기입된 일종의 기록 보관소로서 생명 순환 논리의 증거물로 간주된다.

 

Hwang Jaihyoung (1952- ) is a founder of the Minjung Art group Imsul-nyeon. He depicts the lives of coal miners in the village of Taebaek, based on his direct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ver three years working with them as a miner, and focusing on highly realistic portrayals of their experiences rather than artistic form.

  During rapid industrialization under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coal mine development was intensified. However, no preventive measures were taken against water and soil pollution caused by heavy metals during the rapid growth of the industry or the eventual closing and abandonment of the mines. While mine owners reaped substantial profits from the closures, the coal miners themselves, having long been exposed to dangerous and arduous working conditions, now lost their jobs overnight, with nearby rivers and farmlands left devastated. 

  The artwork A Coal Miner (1984) used pay stubs instead of printmaking paper, reminding viewers of the harsh labor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 Hwang utilized the materials commonly found in mining villages, along with actual tools used in coal mining, to seek a more direct connection between art and life. The Dark Mountain of The Dark Cry (1999-2008) drawn with coal, depicts scenes of a declining coal mining village and the mines left abandoned in accordance with streamlining of the coal industry carried out in 1989. 2008, The Sunset of a Coal Stream (2008) portrays a golden sunset over the Tancheon stream in the Sabuk region, where coal dust and all sorts of pollutants are discharged without any sort of treatment. In his recent works, the artist has been using hair as a material as can be seen in Bubble Gum (2013-2016), which documents the post-mining era in Taebaek. He considers hair as a repository of human stories, and as evidence of the cyclical nature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