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자료실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 작품 설명_#8. 방정아 Bang Jeong-A

부서명
학예연구실
전화번호
051-220-7400
작성자
전진이
작성일
2023-08-16
조회수
555
내용

#8. 방정아 Bang Jeong-A

 

방정아(1968- )는 부산을 기반으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로급속도로 도시화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무너지는 생태계 전반의 변화를 포착하며일상 깊숙이에 기입된 정치권력 구조만연한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며 비판적 사유를 촉구하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부산에서는 1980년대부터 반()공해 운동과 더불어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진 작가들의 움직임이 있었다그 이후 세대라 할 수 있는 방정아는 사회비판적 작업을 주로 하는 부산지역청년미술인회와 부산민족미술인협회를 중심으로 활동해왔고여기서 사회운동으로서 미술운동은 환경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낙동강(1993)은 환경 파괴에 대한 분노를 담은 작품으로수초 대신 쓰레기가 자리한 낙동강 수면 위를 거니는 신화적인 여공의 모습을 다소 투박하고 거칠게 묘사하며 낙동강의 수난 역사를 함축한다낙동강은 우리나라 근대화산업화경제 개발의 역사를 상징하기도 하지만경상도 지역에 집중된 수많은 공단의 불완전한 폐수 처리 과정무분별하게 배출되는 오염수로 인해 악명 높은 수질 오염을 겪은 대표적인 장소이기도 하다.

  〈복식호흡(1999)은 낙동강이 잉태한 거대한 습지 을숙도 일대에서 감각되는 자연의 생명력을 상상적으로 회상하며 표현한 풍경화이다커다란 화폭에는 갈대여뀌수초 등 수질 정화 식물들과 제작 당시 1999년에도 이미 들어선 온갖 귀화 식물들이 구분되지 않은 채 빼곡하게 차 있다작가가 보았던 을숙도의 여러 곳을 콜라주 해 재구성한 을숙도의 풍경에는 더 이상 인간에 의해 이곳이 훼손되지 않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 있다.

  〈신도시(1997)는 부산 지역 신도시 개발과 그로 인한 환경 파괴무미건조하게 획일화되는 도시 풍경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작품으로신도시 특유의 전형적인 조경 방식을 표상하는 앙상한 가지의 나무는 인간이 고안한 숲의 어설픔과 황량함을 익살스럽게 보여준다자연에 대한 인간의 인위적인 개입을 말하는 또 다른 작품 고여 흐르지않다(2000)는 낙동강 하류 습지 지역에 조성된 화명 신도시의 모습을 담고 있다불필요한 하천 정비 사업이 만든 더 이상 흐르지 않는 고인 물은 도시화의 양면성과 병폐를 함축한다네 점의 작품은 각기 다른 시기에 제작된 것이지만부산의 경제 발전 및 도시 개발 역사와 그 환경적 영향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Bang Jeong-A (1968- ), based in Busan, captures the collapsing ecosystem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encourages critical thinking through her artworks, which directly and indirectly challenge deeply entrenched political power structures and explore prevailing social conflicts and inequalities. In Busan, since the 1980s, artists have shown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alongside anti-pollution movements. Bang, belonging to a younger generation,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Young Artists‘ Group in Busan and the Busan Ethnic Art Association, which focus primarily on social criticism and activism and are closel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movement.

  Nakdong River (1993), depicts her anger over environmental destruction, bluntly portraying a mythical-looking female factory worker traversing a Nakdong River filled with garbage, choking the aquatic life and symbolizing the history of the river‘s suffering. The Nakdong River not only represents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South Korea but is also infamous for severe water pollution due to inadequate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and the reckless discharge of pollutants by the numerous industrial complexes concentrated in Gyeongsang-do.

  Abdominal Breathing (1999) imagines and recalls the vitality of nature sensed in the vast wetlands of Eulsuk Island; born of the Nakdong River. The sizeable canvas of the landscape painting is densely filled with a variety of plants known for their ability to purify water, such as reeds, water peppers, and others, alongside and virtually indistinguishable from all manner of naturalized plants which had already spread widely at the time of the artwork’s production in 1999. Composed of a collage of different locations on Eulsuk Island visited by the artist, the work expresses a longing for the place to remain undisturbed by human interference. 

  A New City (1997) was inspired by concerns regarding urban sprawl around Busan and the resulting environmental destruction, along with the monotonous standardization of urban landscapes. The artwork portrays trees with bare branches, symbolizing the typical landscaping peculiar to new cities, satirically highlighting the artificiality and desolation of a forest created by humans. Another piece discussing human intervention in nature, The Water is Stagnant, it doesn’t Flow (2000), depicts Hwamyeong New Town, a planned residential area constructed in the wetlands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 stagnant water, a result of the unwarranted river development, implies the hidden toll of urbanization. Though created at different times, the four artworks effectively summarize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and urbanization in the Busan area and its environmental imp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