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소비자정보 및 소비자안전정보


[보도참고] 식약처, 미백·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올바른 사용정보 안내

부서명
부산광역시 디지털경제실 경제정책과
전화번호
051-888-2143
작성자
박연홍
작성일
2025-11-05
조회수
4
첨부파일
내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식약처_국_좌우.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293pixel, 세로 477pixel

보도참고자료

 



보도시점

배포 즉시

배포

2025. 10. 14.(화)



 

식약처, 미백·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올바른 사용정보 안내

- (미백) 멜라닌 색소 침착 방지 또는 색을 엷게…나이아신아마이드·알부틴 등 성분

 

- (주름개선) 콜라겐 생성 등 작용 통해 피부 탄력↑… 아데노신, 레티놀 등 성분

 

- 다양한 제형 및 기능성 성분, 사용법 및 주의사항 숙지, 사용 중 이상 증상 발생 시 즉시 사용 중단 후 전문의 등과 상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노화 방지  예방에 대한 국민 관심 증가하고, 최근 미백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에 대한 과대광고가 성행함에 따라, 올바른 제품 선택 안전한 사용 방법 안내한다고 밝혔다.

 

 미백 기능성화장품 피부에 멜라닌 색소 침착하는 것을 방지 기미·주근깨 등의 생성 억제하거나,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  엷게 해 피부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으로 주성분 나이아신아마이드, 알부틴 등이 있다.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은 피부주름의 발현과 연관성이 있는 콜라겐 생성 등의 작용을 통해 피부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 완화 또는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으로 주성분 아데노신, 레티놀 등이 있다.

 

 미백과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사용 중 사용 부위 붉은 반점, 부어오름 또는 가려움증 등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 발생하는 경우 제품 사용 중단하고 전문의 등과 상담  치료 등 적절한 조치 받아야 한다.

 

 미백,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은 로션·크림··침적마스크 등 여러 제형이 있고 함유된 기능성 성분도 다양하므로, 개인별 적정 제형 성분에 따라 피부 상태 맞는 제품 선택하고 표시 사용 방법 사용상의 주의사항 숙지해 그에 따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

 

 

 해당 기능성화장품은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제품 아니므로 ‘피부(세포)재생’, ‘세포 노화 억제’, ‘염증 완화에 도움’ 등 의약품 수준의 과도한 수준의 효능·효과 광고 현혹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기능성화장품을 포함한 화장품 인체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물품으로 화장품 범위 벗어나 마이크로니들과 같이 피부 장벽층인 각질층과 표피 통과하여 피부 내 화장품 주입·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면 절대로 안 된다.

 



 피부의 미백 주름개선 도움 주는 기능성화장품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화장품으로 심사(보고)를 거쳐야 한다. 소비자는 제품 포장에서 ‘기능성화장품’이라는 글자 또는 도안 및 효능·효과를 확인하거나, 의약품안전나라 누리집*에서 기능성화장품 여부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의약품안전나라(nedrug.mfds.go.kr) → 의약품등 정보 → 의약품 및 화장품 품목정보 → 기능성화장품제품정보(심사) 또는 기능성화장품제품정보(보고)에서 검색‧확인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자가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하는 화장품 및 기능성화장품 보다 안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화장품 유형별 안전 사용 정보 지속적으로 제공 계획이라고 밝혔다.

 

<붙임> 피부 내 화장품 주입·전달 광고 적발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_CI_가로40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75pixel, 세로 40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PuJN.jpe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57pixel, 세로 357pixel

 국내·외 최신 화장품 규제 동향 및 제도 등에 대한 궁금증, 화장품 글로벌 규제조화 지원센터’에서 확인하세요!

  * 인허가, 원료 규제정보, 수출안내서, AI 상담 챗봇 ‘코스봇’ 등

  (누리집) https://helpcosmetic.or.kr/



담당 부서

바이오생약국

책임자

  장 (직무대리)

천세경

(043-719-3402)

 

화장품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김대기

(043-719-340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f0b4b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0pixel, 세로 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스크린샷 2025-08-28 164225.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84pixel, 세로 88pixel





 

붙임

 

 피부 내 화장품 주입·전달 광고 적발 사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TS(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86pixel, 세로 41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TS(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73pixel, 세로 363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TS(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6pixel, 세로 27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df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7pixel, 세로 519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744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4pixel, 세로 53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11df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9pixel, 세로 832pixel

* MTS : Microneedle Therapy System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8b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pixel, 세로 13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8b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27pixel, 세로 137pixel